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뉴스편집에 활용되는 인공지능의 현주소를 알아봅니다

반응형

● 사진의 상태만으로 오판하는 AI의 단점

인공지능은 뉴스업체나 언론사에서도 그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얼마전, 외국의 한 뉴스에서 그 유명한 베트남전쟁에 관련한 기사를 본 적이 있지요. 왠만한 사람들은 많이 봤을 법한 사진인데 어린 여자아이가 울면서 도망가는 사진입니다. 당연히 몸에 옷을 걸치진 못했지요. 당시 퓰리처상을 받았던 걸로 기억하는데 이 사진과 관련된 기사가 삭제가 된 것입니다. 미국의 유명 IT업체 페이스북에서는 AI의 필터링에 의해서 사진과 함께 기사까지 걸러버린 것이죠. 


막강한 인공지능이 강력한 알고리즘에 의해서 기사의 삭제를 결정한 것입니다. 이 기사는 그 사진의 노출여부를 넘어서 그 안에 담겨진 전쟁의 참사를 얘기하는 진정성이 있는 내용이지요. 인간이라면, 당연히 유해성있는 내용이 아니라는 것쯤은 알것입니다. 하지만 AI는 단지 사진의 노출상태만 보고 기사를 제외시킨것이지요. 과연 이 부분은 우리 인간들이라면 오히려 훌륭한 기사인줄 압니다. 인공지능의 헛점이 바로 여기서 나타나지요. 


이 부분에서 인공지능의 역할을 넘어서 인간의 판단력이 개입하게 됩니다. 결국, 사람이 판단하여 그 기사를 다시 노출되도록 조치를 했는데요. 아직까지는 AI의 알고리즘이 100% 완벽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모든 뉴스 기사중 약 20%는 이처럼 최종결정을 인간이 판단해야만 제대로 된 기사를 낼 수 있는 상황입니다. 하루에도 쏟아지는 뉴스의 양은 정말 엄청나지요. 그 뉴스를 일일이 사람이 검토하고 제재할 수 있는 사항은 아닙니다. 


어차피, AI가 그 역할을 담당해야만 하지요. 위와같은 베트남전 참전 사진 에피소드처럼 수많은 비슷한 사례들이 있을 것입니다. 이런 것들까지 인공지능이 알아서 판단하기까지는 아직은 이르다고 느끼는데요. 언제쯤 인간의 현명한 판단력까지 갖춘 알고리즘이 나올지 사뭇 기대가 됩니다. 인공지능의 알고리즘도 결국은 사람이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구현한 로직이지요. 이런 로직을 공개해야만 그 판단이 올바른지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잘나가는 SNS업체의 로직은 그 회사의 비밀일 수 있습니다. 그 누구도 영업의 핵심을 공개하지 않겠지요. 


자기 밥벌이가 되는 핵심 내용을 타인들에게 공개하라면 그 누가 할 수 있겠습니까? 여러분이라면 할 수 있을까요? 요즘은 많은 로직이나 알고리즘 등 많은 라이브러리가 오픈소스로 공개되고 있습니다. 검색의 기능이 일반화 된 요즘은 위와같은 사례일때 그 중요성과 로직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될수 밖에 없지요.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검색 로직은 그 결과의 중립성을 위해서 알고리즘이 공개되어야 한다는 의견들이 있는 이유입니다. 오로지 기계적인 판단에만 맡겨둔다면 어이없는 검색결과는 뻔히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되지요. 이는 국내의 잘나가는 3대 검색업체인 네이버, 카카오, 네이트에게도 해당되며 앞으로 꼭 해결해야할 문제점이라 생각됩니다. 


인공지능 뉴스기사인공지능 뉴스기사는 현실에 넘쳐나고 있습니다.



● AI를 이용한 뉴스기사는 과연?

인공지능을 이용한 기술은 인터넷 업체의 뉴스기사 작성에서 그 효과가 아마도 가장 클 것입니다. 전세계적으로 AI를 많이 활용하지만, 특히나 중국의 경우도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지요. 모바일 사용이 대세다 보니 모바일 뉴스를 참 많이 보는데요. 중국은 사회주의이라지만 아직은 공산화의 티를 벗고있진 않습니다. 그래서 뉴스의 검열과 삭제는 당연한 수순입니다. 국가와 정부의 입맛에 맞는 뉴스만을 생산해내는 그런 상황이지요. 마치, 현재의 한국에서의 논란거리와 비슷한데요. 


국민들은 이렇게 국가의 입맛에만 맞는 천편일률적인 뉴스를 보는데에 이제는 지쳐버리고 있습니다. 많은 뉴스제공업체들이 있지만, 그들이 쏟아내는 기사들이 거의 비슷하고 조금씩만 바꿔서 카피한 수준인 것이지요. 이런 상황은 뉴스를 소비하는 고객들의 반감을 불러일으키고 보다더 참신하고 개인에 맞춰진 그런 것들을 더욱 요구하게 됩니다. 그런 기대에 부응해 중국에서는 개인에 콘텐츠를 맞춘 뉴스 모바일 앱들이 점차 생겨나되 되지요. 워낙 인구대국인지라 AI기술을 사용한 어떤 앱은 이용자수가 6억명 이상이고 매일 8천만명이 기사를 보며, 광고료로만 2조 가까이 벌고 있다고 합니다. 


이 앱은 소비자가 클릭을 할때의 행동을 분석하여 소비자에게 특화된 콘텐츠를 보여줌으로써 체류시간을 거의 한시간이상이 되도록 했다고 합니다. 이러니 돈을 안벌수가 없는 것이죠. 현재 국내의 뉴스앱들도 개인 맞춤형의 기사를 보여주고 있기는 합니다. 바로 이런 기술이 대세가 된것이죠. 이 기술은 AI의 성공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바로 100% 개인에게 맞춰진 컨셉이 거대 언론사들을 제치게 된 경우이지요. 인공지능의 알고리즘도 어떤 핵심 로직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많이 달라지게 됩니다. 


여기서, 중국의 텐센트 회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드림라이터를 살펴보게 됩니다. 이것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뉴스기사 자동발행 툴이지요. 약 2천자 정도의 기사를 1초도 안되어서 작성한다고 합니다. 누구나 한번쯤은 이런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이미 몇년전에 중국에서는 실제로 상용화하고 있었네요. 물론, 빠르게 만들기에 시간에 구애받지 않지만, 기사라는 것은 속도보다는 그 내용이 더 중요합니다. 사람이 쓴 것처럼 참신하고 생기가 있어야만 소비자도 질리지 않고 기사를 더욱 많이 보겠지요. 


뉴스는 상당히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일들의 집합체입니다. 그 행위를 인공지능 기계에게 95%를 맡기고 나머지 5%만 사람이 검수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발행을 하게 되지요. 인간의 수고로움을 상당부분 덜었다는데에 참 희망적입니다. 수많은 기사를 작성해왔지만 그간 오류율도 거의 없다고 하니 굉장하네요. 


언젠가는 블로그 작성도 이렇게 일일이 키보드를 두드리는 일에서 해방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이렇게 되려면 인공지능과 수많은 원래의 기사를 모아둔 빅데이터가 기본이 되야 하지요. 인공지능 로봇이 만든 기사와 마지막 인간의 화룡점정 한 점이 보태어져서 보다 편하고 효율적인 기사작성이 꿈만은 아님이 느껴지는 대목입니다. 


반응형